세계 부동산 시장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부동산 전망
먼저 부동산 전망을 알아보려면 지금 부동산 시장의 상황을 파악해야 하는데요, 우리나라 대표 부동산 시장인 서울을 보면 서울 아파트값이 부동산 R114에 따르면 약 2년 만에 하락했다고 합니다. 지난 17일에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에 비해 0.01% 하락했는데요, 이는 2020년 5월 이후 약 2년 만입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대단지를 중심으로 매물이 적체되면서 하락했는데요, 강서, 서대문, 송파, 노원, 강남 등이 하향 조정됐고, 반면 동작, 중구, 구로, 영등포 등은 상승했습니다. 이는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한시 배제로 다주택자의 절세 매물이 늘어난 가운데 집값 하락과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 등으로 거래 침체로 이어졌기 때문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있습니다.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중 주택공급을 확대하고 1 주택 실수요 위주로 세금 및 대출규제를 완화해 서민주거안정을 도모하는 내용이 있는데요, 생애최초 주택 구매에 대한 주택담보대출비율을 80%로 완화하고, 1 주택자 보유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재산세는 60%에서 45%로 종합부동산세는 100%에서 60%로 낮출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정부는 8월부터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세입자가 재계약을 하지 못하고 새로 전세를 얻을 경우에 급등한 전셋값으로 주거안정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지원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부동산 전망 - 세계 부동산 시장
앞서 부동산 전망을 알아보고자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과 정부의 정책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그럼 다른 나라의 부동산 흐름은 어떤지 함께 살펴볼까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치솟았던 부동산 경기가 침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경우 5월 주택 착공건수가 전월보다 14.4% 급감한 155만 건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1년여 만의 최저치이며 월간 감소폭은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봄 이후 가장 컸다고 합니다. 중, 장기 주택시장 공급을 결정하는 신규주택 허가 건수도 전월보다 7% 감소한 170만 건으로 지난해 9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이는 미국 주택시장 통계가 주택건설 시장이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주택담보대출의 금리 급등으로 압력을 받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중국의 경우도 5월 주택 가격이 전달보다 0.17% 하락해 하락세가 9개월째 이어지고 있으며, 5월 중국 부동산 판매 면적이 지난해 동월 대비 31.8% 감소한 것으로 보였습니다. 캐나다의 경우도 지난달 거래량과 가격이 모두 하락했는데요, 5월 전국 주택거래가 지난해 동기 대비 22%, 전달보다는 9% 가까이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부동산 전망 - 우리나라 향후 전망
그렇다면 향후 우리나라의 부동산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세계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고 있기에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 역시 하락할 수 있다는 부동산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S&P에 따르면 이미 한국, 뉴질랜드, 호주 등에서 주택거래가 둔화하고 있고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며 금리가 오를수록 주택 가격은 더 하락할 것으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114의 부동산 전망에 따르면 수도권 외곽 지역 중심으로는 급등한 집값이 더 내리기 전 차익을 실현하려는 다주택자의 매물이 계속 나올 것으로 보고 있고 하반기 입주 물량이 많지 않고 상대적으로 주택 수요가 유지되는 서울은 가격이 일정선 이하로는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가설 이론, NFT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부업으로 할 수 있는 아이템 종류와 각각의 장단점 (0) | 2022.06.23 |
---|---|
변화하는 메타버스 (0) | 2022.06.22 |
토지, 집값, 빌딩 부동산 전망 (0) | 2022.06.22 |
블록체인과 블록체인의 코인 개념과 전망 (1) | 2022.06.22 |
미국주식 세금 종류, 수수료 및 절세 방법 총정리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