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식 가격 예측 모델들의 기술 발전 주식 가격 예측 모델들의 기술 발전 지금의 벤치마크 theory라고 하는 것은 이 모형인데, 한 90년대 초반에 시작된 이 3 요인 모델이 stock return, 프라이싱 모델의 벤치마크였어요. 기본적인 출발점이었습니다. 지금은 파마와 프렌치가 2015년에 5요인 모형을 발표했어요. 3 요인에 2가지를 더해서 5 요인 모형을 발표했기 때문에 이제는 어떻게 보면 시장에서 5 요인 모형이 벤치마크 또는 출발점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게 무엇을 의미하느냐 하면 아직까지도 stock return에 관한 pricing theory는 진행형이다. 완성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파마와 프렌치가 제시한 5요인 파마와 프렌치가 제시한 5 요인이 뭐냐? 보면 시장 요인이 있고요. 그다음에 규모(size).. 주가지수와 채권 이해하기 주가지수와 채권 이해하기 주가지수는 금융자산에 대한 특정 시장의 투자성과를 반영하기 위한 주식들의 평균화된 가격을 말합니다. 주가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모든 주가들을 합한 다음 이를 종목 수로 나누어 지수를 구하는 가격 가중평균지수 법과 비교 시점에서의 모든 주식들의 주식 수 곱하기 현재가로 계산되는 시가총액을 합산한 금액과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을 합산한 금액을 비교하여 지수를 산출하는 가치 가중평균지수 법이 있습니다. 지수를 산출할 때 가중치를 쓰는 이유는 지수에 각 주식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적절한 방법으로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우리나라 코스피지수와 코스피 200 지수는 가치 가중평균지수 법으로 구하고 있습니다. 즉 비교 시점의 시가총액을 기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으로 나누어서 곱하기 100포인트로 계산.. 결합가설문제 원인과 anomaly의 관계 결합가설문제 원인과 anomaly의 관계 매우 중요한 결합가설문제를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Joint Hypothesis Problem 또는 공동가설문제라고 합니다. 그럼 결합가설이라는 것이 뭐냐 하면 한 가지 가설이 아니라 결합되어 있다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이것이 테스트하기가 힘들다는 이야기입니다.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ugene Fama는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고 했죠.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는데 바로 이 효율적 시장가설 이론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시카고 부 비즈니스 스쿨 교수로 있고 자기가 이제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 논문에 이 내용이 있는데 70년의 저널 파이낸스에 발표한 내용에서 시장균형모형. 가격이론이죠. 가격이론을 부인하지 않고는 시장효율성 개념을 부..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