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합가설문제 원인과 anomaly의 관계
매우 중요한 결합가설문제를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Joint Hypothesis Problem 또는 공동가설문제라고 합니다. 그럼 결합가설이라는 것이 뭐냐 하면 한 가지 가설이 아니라 결합되어 있다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이것이 테스트하기가 힘들다는 이야기입니다.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ugene Fama는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고 했죠.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는데 바로 이 효율적 시장가설 이론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시카고 부 비즈니스 스쿨 교수로 있고 자기가 이제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 논문에 이 내용이 있는데 70년의 저널 파이낸스에 발표한 내용에서 시장균형모형. 가격이론이죠. 가격이론을 부인하지 않고는 시장효율성 개념을 부인할 수 없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이 내용이 뭔가 하면 모형이 실제 수익률과 크게 다른 기대수익률을 예측할 때 모형이 불완전한 건지 또는 시장이 비효율적인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가설 결합의 문제점
시장효율성과 pricing이 믹스되어서 가설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테스트 하거나 판단하기가 아주 힘들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기존 모형에 존재하는 anomaly. anomaly라는 것은 이례현상이라고 하는데 기존 가격이론으로 설명이 안 되는 부분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설명이 안 되는 부분은 다른 요인, 다른 설명요인. 그 anomaly을 설명하는 다른 요인을 추가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pricing theory 의 발전 방향을 Eugene Fama가 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factor-model에서. 뭐냐 하면 기존 모형이 pricing theory가 완벽하다면 anomaly는 없게 됩니다, 왜냐 하면 다 설명이 되기 때문에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이론이 설명이 안 되는 많은 부분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부분을 다른 설명 변수, 즉 다른 요인을 가지고 설명해보니까 이 부분이 어느 정도 설명이 되더라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그 설명변수가 들어오고. 그러면 다른 요인 또는 설명변수를 추가했을 때 anomaly가 없어지느냐. 줄어들긴 하지만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더라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또 어떻게 해야 돼요? 이 anomaly을 줄이기 위해서 계속 설명변수. 즉, 다른 요인을 계속 추가해야 되는 것이죠. 그래서 지금까지도 파이낸스 분야에서는 그 여정에 있습니다. 이 anomaly를 완전히 없애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직까지도 새로운 요인, 설명변수를 찾고 있습니다. 여러분께서도 비즈니스 파이낸스를 전공하시고 대학원에서 전공하시면 이 이론으로 설명변수를 찾아서 박사학위 논문을 쓰시면 됩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모형이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은 알파라고도 하고 또는 anomaly라고도 합니다.
시장가설과 anomaly의 관계
Fama-French Three-Factor Model. 3열 모형인데 설명변수 축에 있는 y절편, 알파라고 되어 있죠. 저 알파라는 부분이 바로 설명변수에서 설명이 안 되는 부분인 것이죠. 저 알파가 없어야 되는 것이죠. 그리고 또 anomaly는 알파를 포함해서 또는 앱실론, residual에 남아있는 어떤 움직임이 포함됩니다. 그래서 저 알파나 anomaly를 없애기 위해서 설명변수를 찾고 있는 여정에 있는 것이죠. 그래서 일단 저 pricing theory가 완벽해야 그다음에 시장효율성을 테스트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현재 저 pricing theory가 완전하지 않고 계속 알파나 anomaly가 있는 상태에서는 시장효율성을 테스트 할 수 없다는 내용인 것이죠. 그래서 이 결합가설문제는 저 알파나 anomaly가 존재하는 한 pricing 모형이 잘못됐는지, 그냥 시장이 비효율적인지 판단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즉 2개의 가설이 동시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것인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91년에 Fama는 시장효율성 자체는 테스트할 수 없다. 그래서 균형자산가격모형. 예를 들자면 저런 factor model을 통해서 공동으로만 테스트할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한 것입니다. 그래서 이 내용은 시장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는 매우매우 중요한 내용입니다. 그래서 이런 금융AI를 하면서도 파이낸스 분야의 주식가격 Pricing theory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꼭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시장가설 이론, NFT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가격 예측 모델들의 기술 발전 (0) | 2022.07.04 |
---|---|
주가지수와 채권 이해하기 (0) | 2022.06.28 |
뉴스가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 모델 (0) | 2022.06.24 |
주가 예측 기법과 기술의 방향 (0) | 2022.06.24 |
인공지능과 딥러닝 개념 구분 이해하는 방법 (0) |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