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 시장가설의 종류
효율적 시장가설의 종류
효율적 시장가설의 종류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효율적 시장가설은 아주 간단한데 모든 이용가능한 정보가 신속하게 주가에 반영된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가 어디까지냐에 따라서 효율적 시장가설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정보의 범위가 작은 것에서 점점 커지는데 그래서 정보의 범위가 과거 정보일 때는 약형, weak-form 시장 효율성이라고 하고 그다음에 과거 정보뿐만 아니라 공적으로 퍼블릭클리 어벨리어블한 정보를 포함해서 전망정보까지 보험할 때 우리가 준강형, SEMI-strong-form이라고 합니다. 준강형 효율적 시장가설입니다. 그리고 이 내부정보, 사적인 정보까지 포함할 때의 강형 효율적 시장가설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효율적 시장가설의 종류는 정보집합의 크기에 의해서 구분이 되어 집니다.
weak-form 효율적 시장가설
먼저 weak-form 효율적 시장가설입니다. 이 정보집합이 과거의 데이터입니다.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 데이터가 반영이 된다는 것이죠. 그래서 주가에는 이미 모든 과거의 주가자료나 거래량 자료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과거의 정보를 이용한 투자전략은 시장수익률 이상의 수익률은 달성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이 약형 시장효율성이 의미하는 것은 오히려 수많은 사람들이 기술적 분석이라는 것인, technical analysis라는 것이 있죠. 과거 주가나 거래량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을 통해서는 어떤 주가나 거래량 추세를 분석 연구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시장의 효율성이 달성이 되는 것이고 또 잘 반영이 되는 것이고 이 기술적 분석을 통해서는 또한 효율적 시장가설이 성립하기 때문에 초과수익률은 누릴 수가 없는 것이죠. 만약에 이런 기술적 분석을 통해서 시장에 반영 되지 않는 새로운 정보를 얻게 된다면 바로 초과 수익률을 낼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입니다.
SEMI-strong-form
SEMI-strong-form입니다. SEMI-strong-form 시장효율성은 정보 집합이 과거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망데이터까지 모두 포함하는 공적데이터입니다. 그래서 이 주가에는 이러한 과거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망데이터를 포함한 공적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통해서는 추가수익률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것이죠. 이 전망 데이터와 관련해서는 이 fundamental analysis, 기본적 분석에 있습니다. 그래서 fundamental analysis는 회계 자료를 통해서 내재가치를 구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석 때문에 시장의 효율성이 잘 달성되는 것이죠. 그래서 마찬가지로 기본적 분석 fundamental analysis을 통해서 만약에 투자자가 새로운 정보, 시장에 반영되어 있지 않는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게 된다면 그 정보로 시장보다 높은 초과수익률을 낼 여지가 있습니다.
strong-form 시장효율성
strong-form 시장효율성입니다. 강형 시장효율성인데 이때 정보집합은 내부정보까지 포함한 모든 정보입니다. 그래서 공적인 정보하고 사적인 정보까지 다 포함해서 이 모든 정보가 시장에 신속하게 반영이 되기 때문에 이 시장수익률 이상의 초과수익률은 낼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업의 내부 정보가 무엇이냐. 보통 내부의 핵심인물, insiders죠. 회장이나 사장이나 이사 멤버들이죠. 이사들이 알고 있는 정보 또는 그 업무를 담당했던 직원도 포함될 수 있겠죠. 이러한 사람들만 알고 있는 정보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내부 정보도 가격에 반영이 된다는 것이죠. 아주 강력한 시장효율성을 의미합니다. 이 시장효율성이 어떤 시장 이상의 초과수익률을 낼 수 없다고 하니까 그러면 우리가 주식 셀렉션이나 타이밍 할 필요가 없겠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지는 않다는 것입니다.